• 이격도
  • 이동평균선
  • 볼린저밴드
  • MACD
  • RSI

이격도

개요
  • 이격도(disparity)란 주가와 이동평균선 사이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괴리율)를 나타내는 지표. 당일의 주가를 이동평균치로 나눠 계산하며 단기 투자시점을 포착하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계산방법
  • 이격도(율) = (당일의 주가) / (당일의 이동평균주가) X 100
해석
  • 이격도가 100 이상이라는 것은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 있다는 것이고 100 이하라는 것은 주가가 이동평균 아래에 위치합니다. 이격도 분석은 이격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나 이하에서 변곡점이 나타나거나 기준값을 돌파하면 매수, 매도의 시점으로 분석합니다. 이러한 이격도 분석은 매도보다 매수시점 선택시 유리하고 단기보다는 중, 장기 투자에 유리한 면이 있습니다. 이격도 분석에서 사용되는 이동평균 기간은 보통 20일과 60일을 많이 사용합니다.
  • 예를 들어 20일 이격도가 105%이면 매도신호, 95% 밑돌면 매수신호, 60일 이격도가 110%이상이면 매도신호, 90% 밑돌면 매수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종합차트
이격도 종합차트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

개요
  • 불규칙한 시장의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일정 평균일동안 주가 흐름에 대하여 선을 그어 놓은 지표로서 보통은 5, 10, 20, 60, 120일선을 많이 쓰고 있습니다.
계산방법
  • 이동평균 = n일간 종가의 합 / n
해석
  • 가격의 불규칙한 변동을 제거하여 느린 예보자(tardy forceser)로서의 신호를 평탄한 선으로 만듦으로써 추세(방향) 또는 전환점을 용이하게 예측하는 것으로써 이는 가격 움직임에 일정한 추세와 패턴이 있다는 가정하에 이루어 집니다.
    • 지지와 저항 : 이동평균선은 일정기간의 평균적인 매매가격이므로 상승추세에서는 중요한 지지선 역할을 하며, 하락추세에서는 중요한 저항선 역할을 합니다.
    • 이동평균선의 배열 : 주가의 상승추세에서는 주가 > 단기이동평균선 > 장기이동평균선의 순서가 되는 정배열 현상이 나타나고, 하락추세에서는 주가 < 단기이동평균선 < 장기이동평균선의 순서가 되는 역배열 현상이 필연적으로 발생합니다.
    • 이동평균선의 교차 : 단기이동평균선이 장기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할 때(Golden Cross) 매수하고, 단기이동평균선이 장기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할 때(Dead Cross) 매도하는 매매기법 임. 골든 크로스가 발생하였다 함은 최근의 가격추세 (단기이동평균)가 그 동안 하락하던 가격의 큰 흐름(장기이동평균)을 전환시키려고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시장의 중요한 질적변화를 암시합니다. 따라서 이동평균선의 교차시점이 중요한 매매 타이밍이 됩니다.
종합차트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 종합차트

볼린저밴드 (Bollinger Bands)

개요
  • 시간에 따른 가격 변화의 정도 즉, 기복성을 반영한 지표로서 볼린저밴드는 일정 기간 동안의 이동 평균을 계산하여 그 값으로부터 이동 평균 편차의 적정 배수만큼 더한 값을 상한선으로 빼준 값을 하한선으로 정합니다.
계산방법
  • 중심선(Middle Band) = n일의 이동평균선
  • 상한밴드(Upper Band) = Middle Band + (d x α)
  • 하한밴드(Lower Band) = Middle Band - (d x α)
  • d = 승수 (통상 2를 사용하나 변동 가능함), α = 표준편차
해석
  • 주가는 상·하한선을 계기로 등락을 거듭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볼린저밴드의 기본적인 해석 방법이나 이동평균선의 Envelope와는 달리 주가의 변동 폭에 따라 상·하한선간의 폭이 변화하게 됩니다.
    • 상·하한선간의 폭이 좁아지면 가격의 변화가 일어나기 쉬움. 즉, 일정기간 동안 주가의 움직임이 별다른 변화 없이 지속되어 오면 밴드의 폭이 좁아지며, 그만큼 가격의 상승 혹은 하락이 임박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주가가 밴드의 밖으로 움직이는 경우는 현 추세의 지속을 의미합니다.
    • 밴드 안에서 형성된 정점과 저점은 밴드의 밖에서 형성된 정점과 저점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곧 추세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 상한선이나 하한선 중 어느 한쪽으로 주가가 움직인 이후에는 항상 다른 한쪽을 향해 주가가 움직이려는 경향을 띠게됩니다.
종합차트
볼린저밴드 (Bollinger Bands) 종합차트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Divergence)

개요
  • MACD의 원리는 장기 이동평균선과 단기이동평균선이 서로 멀어지게 되면(divergence) 언젠가는 다시 가까워져(convergence) 어느 시점에서 서로 만나거나 교차하게 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두 개의 이동평균선이 멀어지는 시점과 가까워지는 시점을 포착하여 이를 매매 신호로 활용하는 기법입니다.
계산방법
  • MACD = 단기지수이동평균 - 장기지수이동평균
  • Signal Line = MACD의 n일 지수이동평균
  • MACD 오실레이터 = MACD - Signal Line의 막대 그래프
해석
  • MACD의 12일 지수 이동 평균을 signal곡선이라 하는데 MACD곡선이 signal곡선을 상향 돌파할 때를 매수 시점으로, 하향 돌파할 때를 매도 시점으로 인식합니다. MACD 값이 음에서 양으로 전환하면 상승 추세로의 전환으로 보고, 양에서 음으로 변하면 하락 추세로의 전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종합차트
MACD(Moving Averange Convergence/Divergence) 종합차트

RSI (Relative Strength Index)

개요
  • 주가나 지수가 상승추세일 경우 얼마나 강한 상승세인지 하락추세라면 얼마나 강한 하락세인지 그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 시장가격 변동폭 중에서 시장가격의 상승폭이 어느 정도인지 그 종가의 범위를 퍼센트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계산방법
  • RSI = (n일간의 주가 상승폭 합계) / (n일간의 주가상승폭 합계 + n일간의 주가 하락폭 합계) x 100
해석
  • RSI의 값이 70 이상이면 과도 매수 상태로 판단하여 매도 시점으로 생각할 수 있고, 30이하이면 과도 매도 상태로 생각되어 매수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RSI의 값이 30이하이거나 70이상일 때 주가 추세와 Divergence가 나타나면 추세 반전 신호로 판단됨. 주가가 상승 추세로 보이고 있을 때 RSI의 값이 직전 최고 수준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하다가 직전 저점을 하향 돌파하는 순간이 매도 시점이 되며, 반대로 주가가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을 때 RSI의 값이 직전 최저 수준을 돌파하지 못하고 상승하다가 직전 고점을 상향 돌파하는 순간이 매수 시점이 됩니다.
종합차트
RSI (Relative Strength Index) 종합차트